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2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발급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발급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발급방법 1. 건강보험공단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을 해줍니다. 3. 홈화면으로 와서 [보험료 납부확인서]를 클릭합니다. 4. 발급용도를 선택하시고, 발급을 원하는 년월을 지정한 후 조회를 진행합니다. 5. 이제 원하는 내역을 출력하시면 되는데요. 본인이 피부양자로 있던 내역은 출력이 안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6. 파일이 다운로드되면 열고 출력을 하시면 되는데요. 이때 파일을 열기 위해서는 개인인 경우 본인의 생년월일 6자리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7. 마지막으로 pdf 저장을 원하시는 분은 인쇄 화면에서 대상을 [PDF로 저장]을 선택한 후 저장을 하시면 됩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납부확인서 발급.. 2023. 3. 21.
주민등록초본 인터넷 발급 방법 오늘은 많은 분들이 등본과 헷갈려하시는 초본을 발급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주민등록초본 인터넷 발급 1. 주민등록초본을 검색 후 나오는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신청하기를 클릭한 후 회원 신청하기를 통해 로그인을 합니다. 3. 이제 본격적으로 신청하는 단계입니다. 처음 접속하시면 등본으로 나와있는데요. 이걸 초본으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4. 주소와 발급 대상자, 발급 형태를 선택합니다. 발급형태의 경우 공공기관에 제출하신다면 선택발급보단 [발급]을 선택하시는 게 낫습니다. 5. 마지막으로 민원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6. 출력을 하셔야 하는데요. 문서출력을 클릭해 진행해주세요. 만약 pdf 저장을 원하는 경우 [대상]을 [pdf로 저장]으로 변경한 후 저장을 하시면 됩니다. 2023. 3. 19.
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 방법 매달 납부하게 되는 국민연금, 오늘은 국민연금 납부내역을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보험료 국민연금은 사업장 가입자, 즉 직장가입자인 경우 회사와 본인이 반씩 부담하게 됩니다. 반면 지역가입자인 분들은 모든 연금보험료를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현재 국민연금보험료는 기준소득월액(월급)의 4.5%를 부담해야 하는데요. 따라서 직장가입자라면 2.25%를 본인이 부담하게 됩니다. 예 : 월 급여 250만 원을 받는 직장을 다니는 가입자의 연금보험료는? 전체 연금보험료는 112,500원이고 본인 부담액은 절반인 56,250원입니다. 국민연금 납부내역 조회 1. 국민연금공단에 접속한 후 로그인을 합니다. 2. 개인인증 클릭 후 간편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합니다. 다른 방법을 이용하셔도 되지만 개.. 2023. 3. 17.
카드포인트 현금으로 전환하는 법 오늘은 카드포인트를 현금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카드포인트 현금으로 전환하기 해당 서비스는 오전 1시부터 23시까지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를 클릭해 접속하세요. 2. 메뉴 중 [카드포인트 현금화]를 클릭합니다. 3. 개인정보 수집 동의 후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요. 주민번호를 입력하고 공동 또는 금융인증서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4. 이제 휴대폰 인증을 해주세요. 5. 마지막으로 위임동의를 해줍니다. 6. 이제 현금화 가능한 포인트가 조회되었습니다. 전액신청을 클릭한 후 현금화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저는 이전에 한번 현금화를 해서 가능한 포인트가 없네요. 신청을 하시게 되면 은행마다 다르겠지만 저 같은 경우 바로 신청 당시 입력한 은행 계좌로 입금되었습니다. 2023. 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