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한 분들이라면 벌써 납입을 시작한 지 1년이 다 되어가는데요. 다들 아시다시피 청년희망적금은 저축장려금이 적립됩니다. 오늘은 저축장려금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년희망적금 저축장려금
청년희망적금은 청년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2022년 시행된 사업으로써, 이후 재시행한다는 말이 많았지만 결국 2023년에는 시행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2022년 3월부터 가입했으니 1년 만기인 분들은 2023년 3월에, 2년 만기인 분들은 2024년 3월에 만기가 되는데요. 저축장려금은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 1년 만기 : 저축액의 2% (최대 12만 원)
✅ 2년 만기 : 1년차 저축액의 2% + 2년 차 저축액의 4% (최대 36만 원)
저축액에 따라 저축장려금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매달 30만 원씩 납입을 하게 된다면 납입 1년 차가 되면 총 360만 원의 저축액이 모이겠죠. 그럼 360만 원 × 2% = 72,000원의 저축장려금을 받게 됩니다.
추가로 1년 더 납입을 하게 되면 2년차에는 저축장려금이 4%가 반영됩니다.
따라서 360만 원 × 4% = 144,000원으로 총 216,000원의 저축장려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많이 납입할수록 저축장려금은 많아집니다.
저축장려금 확인하는 법
이제 현재까지 누적된 저축장려금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볼 텐데요.
1. 서민금융진행원 어플을 다운로드합니다.
어플에 접속한 후 오른쪽 하단에서 [전체메뉴]를 클릭합니다.
2. 가입이 필요하니 [회원등록]을 클릭해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3. 가입이 완료되면 다시 전체 메뉴에서 [마이페이지]를 클릭합니다.
4. 밑으로 내려 [나의 청년희망적금 가입내역]을 클릭합니다.
예상장려금에서 현재까지 적립된 저축장려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율, 적립금 및 이자 확인
마지막으로 현재까지 적립된 금액 및 이자를 확인하시려면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한 은행 뱅킹 어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한은행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신한 쏠 어플에 접속하신 후에 로그인을 하시고, [전체 보기]를 클릭합니다. 그러고 나서 본인의 청년희망적금 계좌를 클릭합니다.
보시면 적용이율과 원금, 예상이자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근로장려금 지급일 지급액 조회 (0) | 2023.05.05 |
---|---|
지자체 난방비 지원 알아보기 (0) | 2023.02.06 |
평생교육바우처 신청방법 및 사용기관 총정리 (0) | 2023.01.20 |
2023년 근로장려금 신청자격 지급액 달라지는 점 (0) | 2023.01.10 |
청년도약계좌 자격 및 신청기간 (0) | 2022.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