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실업급여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실업급여 조건에 대해서는 이미 대부분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되니 생략하고 실업급여를 처음 신청하는 분이라면 이 글을 보고 그대로 따라오시면 됩니다.
실업급여 신청 방법
먼저 실업급여를 처음 신청하는 분들이라면 거주지의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방문하셔야 신청 접수가 가능합니다. 방문 전에 몇 가지를 해놓고 가면 더 빠르게 신청 접수가 가능하니 알려드릴게요.
그리고 아래 세가지를 처리하기 전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것은 4대 보험 상실 신고가 되어야 하는 건데요. 업장마다 다르겠지만 보통은 퇴사 후 1~2주일 내에 상실 신고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니 퇴사 후 바로 가시기보단 1~2주일 텀을 두고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1. 실업급여 홈페이지에서 수급자격 신청 동영상 시청
2. 워크넷에서 구직등록하기
3. 이직확인서 접수 및 처리 결과 확인
1. 실업급여 홈페이지에서 수급자격 신청 동영상 시청
먼저 실업급여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로그인을 해주세요(처음 방문하는 경우 회원가입부터!)
그러고 나서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을 클릭해 동영상을 시청합니다.
만약 동영상이 뜨지 않는 분들은 팝업을 허용해 줬는지 확인해 보시고요.
크롬을 사용하신다면 상단의 자물쇠를 클릭하시면 [사이트 설정]이 보일 텐데요. 클릭하여 들어가신 후에 [팝업 및 리디렉션]을 허용으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이제 동영상이 재생된다면 들으시면서 수료해 주시면 됩니다. 30분 동안 움직임이 없으면 로그아웃이 될 수 있으니 중간중간 확인하시는 거 잊지 마세요.
2. 워크넷에서 구직등록하기
추가로 동영상을 들은 후 워크넷 구직등록을 마치셔야 하는데요.
워크넷에 접속하셔서 로그인(또는 회원가입)을 하신 후 1. 이력서 등록, 2. 워크넷 구직신청 순으로 진행을 하시면 됩니다.
이제 기본 준비가 끝났습니다.
3.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확인
마지막으로 꼭 확인하셔야 하는 게 있습니다. 바로 이직확인서가 처리됐는지 여부를 확인하시는 건데요. 이직확인서는 사업장에서 상실 신고 후 입력을 해야 합니다. 이직확인서가 처리가 되어야 실업급여 처리도 가능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직확인서 처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고용보험 어플을 다운로드하시고 간편 인증 또는 금융인증서 등의 방법으로 로그인을 하세요.
그리고 홈 화면의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를 클릭하시면 [접수 또는 처리]로 나오는데요. 만약 내역이 나오지 않으면 아직 사업장에서 이직확인서를 입력하지 않은 것이니 너무 늦어진다면 연락해서 요청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아무튼 확인을 했을 때 접수로 나왔다면 사업장에서는 입력을 했지만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아직 처리가 되지 않은 건데요. 이럴 때는 천천히 가도 되는 분들은 조금 더 기다렸다가 처리를 확인한 후 가셔도 되고요. 더 빨리 하고 싶은 분은 실업급여 신청하러 가셨을 때 [이직확인서]라고 되어있는 곳에 가셔서 말씀하시면 단기계약 고용인 경우 근로계약서를 요청하십니다. 그러니 근로계약서, 신분증을 지참하신 후 가시면 더 빠르게 처리가 가능합니다.
방문해서 신청하기
마지막으로 앞서 말씀드린 것을 다 확인하셨다면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방문하셔서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하는 층으로 방문하시면 됩니다.
가신 후 수급자격 신청서를 작성하시고 대기표를 뽑고 기다리신 후 신청서를 접수하시면 됩니다. 만약 이직확인서 처리가 아직이라면 위에 말씀드린 대로 하시면 되고요.
- 신분증, 근로계약서 지참할 것
- 사업자가 등록되어 있거나, 다단계 가입을 한 상태라면 실업급여 신청이 불가능
사업자 등록이 되어있다면 방문 전 꼭 휴업 또는 폐업 신고를 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이번에 처음 신청을 하는 거라 잘 몰라서 신청하는데 시간이 더 오래 걸렸는데요. 특히 이직확인서 부분을 잘 확인하고 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만약 처음 신청하는 것이 아니라면 인터넷으로 미리 수급자격 신청서를 작성하고 가시면 더 빠른 접수가 가능하니 작성해 보세요.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사랑상품권 구매방법 및 발행일정 (1) | 2023.03.29 |
---|---|
카드포인트 현금으로 전환하는 법 (0) | 2023.03.15 |
카카오페이 사용법 충전방법 (0) | 2023.01.17 |
카카오 인증서 발급 방법 (0) | 2023.01.13 |
삼성페이 교통카드 등록방법 (0) | 2023.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