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오래전에 읽었던 책인 성숙한 어른이 갖춰야 할 좋은 심리 습관에서 인상 깊었던 구절을 정리해보고 후기를 써보려고 합니다.
13. 당신에게 부족한 것은 능력이 아니라 자기긍정이다
학습된 무력감은 장기적으로 부정적으로 압력 받는 환경에 처해 있었기 때문에 무슨 일을 하든 실패할 것으로 생각하여 발생하는데요. 이러한 학습된 무력감을 없애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기 긍정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명확하고 단계적인 목표와 적절한 자기 보상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본인이 오랜 취업준비생 생활로 인해 실패할 것 같다는 학습된 무력감을 가지게 됐다면 스스로 해낼 수 있다는 자기 긍정과 더불어 작은 목표를 달성해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스쿼트 50번 하기'와 같이 달성 가능한 목표를 달성해나가면서 달성했을 때는 적절한 보상도 해주는 것이죠.
16. 완벽함보다는 실행이 낫다
완벽함을 지나치게 추구하는 사람들은 시작을 하기가 힘듭니다. 저 또한 이러한 완벽주의 성향 때문에 무엇이든 시작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요. 지나고 보면 일단 실행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느낍니다. 무슨 일이든 완벽하게 시작한다는 것은 사실 힘든 일입니다. 먼저 실행하고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극복해가는 상황에서는 인간은 더 많은 것을 배우기 마련이니깐요.
책에서는 이러한 완벽주의에서 벗어나는 법이 먼저 완벽주의 성향이 있음을 인정하라고 말합니다. 즉, 문제가 있음을 받아들이라는 거죠. 여러분도 시작이 힘든 분들은 '내가 완벽주의자인가' 생각해보고 인정을 먼저 해보세요.
18. 나쁜 습관을 고치지 못하는 이유
우리가 나쁜 습관을 고치지 못하는 이유는 예행연습이 이루어지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학교에 지각을 했을 때 우리는 '다음에 지각하지 말아야지' 하고 다짐만 하고 끝나게 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다음에도 그런 상황이 벌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이런 실수를 어떻게 바로잡을지 고민해보는 것입니다.
3가지의 순서로 예행연습을 해야 합니다.
STEP 1. 나의 미래에 대한 바람이나 계획을 생각해본다.
STEP 2. 원인과 해결방법을 찾아본다.
STEP 3. 습관이 될 때까지 일련의 과정을 연습한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 자주 지각하는 사람이 이러한 습관을 고치고 싶다면 순서대로 예행 연습을 해봅니다.
STEP 1. 지각을 하지 않아 직장 동료들에게 성실한 사람의 인식되고 싶다.
STEP 2. 늦은 시간에 잠이 들어 아침에 일어나는 것이 힘들다. 해결방안으로 일찍 잠들기 위해 12시가 되면 휴대폰을 잠글 수 있는 어플을 설치한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위해 알림을 맞춰 놓는다.
STEP 3. 습관이 될 때까지 일련의 과정을 연습한다.
이 방법대로 실행하여 나쁜 습관을 꼭 고칠 수 있길 바랍니다.
22. 몸이 마음을 속이게 하지 말라
'캐필라노의 법칙', '구름다리 효과'
인간에게는 자극을 받으면, 그 자극이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호불호에 대한 반응이 더 강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신체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자각 능력을 키워야 한다고 책에서는 말합니다. 잠시 멈춰 몸의 이야기를 들으며 냉정하게 진짜 원인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죠.
오늘은 성숙한 어른이 갖춰야 할 좋은 심리 습관 책을 읽고 난 후 기억에 남은 구절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고, 해결방법에 제시해줘 도움이 많이 됐는데요. 나쁜 습관을 가지고 있어 고민되는 분, 앞으로 더 성숙해지고 싶은 분은 꼭 읽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